프랙티스 페어웨이 (practice fairway) : 연습을 하기위한 페어웨이를 말한다.
연습그린 (practice green) : 퍼팅을 연습하기 위해 조성한 그린을 말하며, 대개 클럽하우스 근처에 위치해 있다.
연습 티 (practice tee) : 연습을 목적으로 만든 티다. 크기는 2,780~6,970㎡로 정규 티보다 크기가 크다. 보통 코스보다 약간 높여 조성하며 형태는 긴 직사각형이나 완만한 초승달 모양이다. 이곳의 잔디 깎기높이는 정규 티에 준한다.
정밀농법 (精密農法 precision farming) : 농약이나 비료 등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시약이나 시비함으로써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환경을 보호하면서도 농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수지를 최적화하자는 것이며 지속농업을 위한 새로운 농업기술을 말한다. 포장의 조건은 다르기 때문에 일정량을 투입하는 재래식 방법에서 지역과 조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영농방법이다. 따라서 지정된 위치에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고 이를 판단하고 이용하는 결정기술인 변량률기술(variable-rate technology)도 필요하다.
포식성 (捕食性 predator) : 다른 곤충을 잡아먹는 것. 포식성 곤충은 천적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은 종이 많다(참조:부식성, 초식성, 육식성, 기생성, 천적).
발아전 제초제 (發芽前除草劑 preemergence herbicide) : 잡초가 발아하기 전에 토양에 살포하여 잡초를 고사시키는 제초제다.
선호성 (選好性 preference) : 해충에 대한 식물내성의 하나로서 식물의 화학적 물질이나 형태, 색체 등이 해충에 대한 산란과 먹이활동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참조:작물저항성, 비선호성, 항생성, 내성).
최아종자 (催芽種子 pregerminated seed) : 벼, 맥류, 땅콩, 가지 등에서는 발아, 생육을 촉진할 목적으로 종자의 싹을 약간 틔워서 파종하는 일이 있는데, 이때 약간 싹이 틔어진 종자를 말한다.
발아전처리 (發芽前處理 pregermination) : 조기에 잔디면을 조성하거나 회복시키기 위해 잔디종자를 물에 침지하거나 발아촉진 호르몬을 처리하는 것이다.
식재전 잡초방제 (植栽前雜草防除 preplant weed control) : 종자 파종전이나 묘를 이식하기 전에 잡초방제를 위해 토양을 고온으로 가열하거나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는 것을 말한다.
|